⇤ ← Revision 1 as of 2006-04-19 10:41:44
Size: 777
Comment:
|
Size: 777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5: | Line 5: |
디렉토리는 [Database]와 유사한데, Database가 자주 갱신되어야 하므로, rollback, transaction등의 복잡한 처리가 필요한 것에 비해, 빈번한 읽기만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다르다. 대표적인 디렉토리서비스가 [DNS]이다. 특정 [Domain]을 요청하면 [IP]주소를 돌려주는 디렉토리 서비스이다. LDAP를 쓰는 가장 일반적인 케이스는 대학등의 컴퓨터에서 사용자계정인증에 사용되는 passwd 및 사용자정보를 LDAP 로 변환해서, 단일창구의 주소록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 | 디렉토리는 [Database]와 유사한데, Database가 자주 갱신되어야 하므로, rollback, transaction등의 복잡한 처리가 필요한 것에 비해, 빈번한 읽기만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다르다. 대표적인 디렉토리서비스가 [DNS]이다. 특정 [Domain]을 요청하면 [IP]주소를 돌려주는 디렉토리 서비스이다. LDAP를 쓰는 가장 일반적인 케이스는 대학등의 컴퓨터에서 사용자계정인증에 사용되는 passwd 및 사용자정보를 LDAP 로 변환해서, 단일창구의 주소록 서비스를 구성하는 것이다. |
LightweightDirectoryAccessProtocol
디렉토리서버 엑세스를 위한 ClientServer 프로토콜
디렉토리는 [Database]와 유사한데, Database가 자주 갱신되어야 하므로, rollback, transaction등의 복잡한 처리가 필요한 것에 비해, 빈번한 읽기만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다르다. 대표적인 디렉토리서비스가 [DNS]이다. 특정 [Domain]을 요청하면 [IP]주소를 돌려주는 디렉토리 서비스이다. LDAP를 쓰는 가장 일반적인 케이스는 대학등의 컴퓨터에서 사용자계정인증에 사용되는 passwd 및 사용자정보를 LDAP 로 변환해서, 단일창구의 주소록 서비스를 구성하는 것이다.
각종 설명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