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294
Comment:
|
Size: 1648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3: | Line 3: |
MarkBuchanan 의 책.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안용열]님 추천도서. Alberio:Ubiquity | MarkBuchanan 의 책.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안용열]님 추천도서. Albireo:MarkBuchanan/Ubiquity 이책에서 소개되고 있는 임계상태의 예 * 지진 * 모래더미의 무너짐 (실제로 쌀알갱이가 더 잘 들어맞는다고) * 산불 * 냉동된 감자를 부서뜨리기 * 자석 * 가속기의 원형 고리속에서 회전하는 전자 * 소금의 석출 * 제어봉에 의해 제어되는 핵반응 * 펄서라고 불리우는 별 * 메뚜기 창궐 * 멸종 (like PermianExtenction) 기억나는 문구 {{| 케플러가 행성의 궤도에 나타나는 규칙성을 확인하고 서술한 지 한참 뒤에야 뉴턴이 그렇게 되는 이유를 설명했듯이, BenoitMandelbrot의 발견에도 심오한 설명이 필요하다. |}} {{| 이것이 역사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 결과는 비가역적이며, 앞에 일어나는 일이 나중에 일어나는 모든 일에 영향을 준다. |}} {{| 임계상태에서 중요한 것은 복잡한 세부적인 성질이 아니라 영향이 전파되는 방식의 배후에 있는 단순한 기하학적 특성이다. |}} |
Line 5: | Line 32: |
PowerLaw, ScaleFreeNetwork에 대한 또다른 설명들. -- ["yong27"] [[DateTime(2005-12-25T08:12:54Z)]] | PowerLaw, [Fractal]에 대한 또다른 설명들. -- ["yong27"] [[DateTime(2005-12-25T08:12:54Z)]] 도서관에서 10년을 보낸 고생물학자 잭 셉코스키가 4만가지 속, 5천가지 과를 데이터베이스로 정리했다고. 이후에 마이클 벤턴이 7천가지 과를 정리. 이것이 [Taxonomy]의 기본이 된 것일까? -- ["yong27"] [[DateTime(2006-01-02T15:28:20Z)]] |
MarkBuchanan 의 책.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안용열]님 추천도서. MarkBuchanan/Ubiquity
이책에서 소개되고 있는 임계상태의 예
- 지진
- 모래더미의 무너짐 (실제로 쌀알갱이가 더 잘 들어맞는다고)
- 산불
- 냉동된 감자를 부서뜨리기
- 자석
- 가속기의 원형 고리속에서 회전하는 전자
- 소금의 석출
- 제어봉에 의해 제어되는 핵반응
- 펄서라고 불리우는 별
- 메뚜기 창궐
멸종 (like PermianExtenction)
기억나는 문구 {{| 케플러가 행성의 궤도에 나타나는 규칙성을 확인하고 서술한 지 한참 뒤에야 뉴턴이 그렇게 되는 이유를 설명했듯이, BenoitMandelbrot의 발견에도 심오한 설명이 필요하다. |}}
{{| 이것이 역사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 결과는 비가역적이며, 앞에 일어나는 일이 나중에 일어나는 모든 일에 영향을 준다. |}}
{{| 임계상태에서 중요한 것은 복잡한 세부적인 성질이 아니라 영향이 전파되는 방식의 배후에 있는 단순한 기하학적 특성이다. |}}
PowerLaw, [Fractal]에 대한 또다른 설명들. -- ["yong27"] DateTime(2005-12-25T08:12:54Z)
도서관에서 10년을 보낸 고생물학자 잭 셉코스키가 4만가지 속, 5천가지 과를 데이터베이스로 정리했다고. 이후에 마이클 벤턴이 7천가지 과를 정리. 이것이 [Taxonomy]의 기본이 된 것일까? -- ["yong27"] DateTime(2006-01-02T15:28:20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