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6-08]

[../2006-10]

(->)

2006 / September
Sunday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
-1- -2-
ALT2006
-3- -4- -5- -6- -7- -8- -9-
Just Relax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2006-09-29

{{|The gene signatures are captured by devices called microarrays, or "gene chips," that take a snapshot of the tens of thousands of genes at the heart of every cell. The Connectivity Map system is based on the difference in gene activity patterns -- which genes are active, which are inactive -- in a disease cell compared with a normal cell, or a cell before it has been treated with a drug and after the drug has been administered. Usually there is a group of 100 or more genes whose activity differs between one state and the other: That set of genes makes up the signature. |}}


2006-09-28

{{| 재주가 남만 못하다고 스스로 한계를 짓지말라.

나보다 어리석고 둔한 사람도 없겠지만

결국에는 이룸이 있었다.

모든 것은 힘쓰는데 달렸을 따름이다.

<김득신이 스스로 지은 묘비명에서> |}}


2006-09-27

: 생물학연구는 실험실에서 하얀 옷을 입고 현미경을 들여다 봐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자연에서 수없이 많은 생물들이 우리들이 상상할 수 없는 다양한 방법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그들의 환경적응 방법을 관찰하여, 인간의 질병연구에 적용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은 오랜 세월동안 환경에 적응해온 시스템이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최적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연구하는 관점에 있어서도 다양한 생각과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If we want to add a therapeutic gene, we can put it within the transposon and use it to deliver the gene into the cell," says Dr. Joseph M. Kaminski, radiation oncologist at the Medical College of Georgia Cancer Center and a corresponding author on research published the week of Sept. 25 in the onlin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Early Edition. "You can use these wherever retroviruses have been used." |}}


2006-09-26

{{|Systems biology is the study of the behavior of complex biological organization and processes in terms of the molecular constituents. Systems biology attempts all of this through quantitative measurement, modeling, reconstruction,and theory. The success of systems biology is essential if we are to understand life; its success is far from assured to good field for those seeking risk and adventure. Mark Kirschner (Cell, 2005) |}}


2006-09-25

"21세기의 비지니스 시스템은 인간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게하는 환경, 인간이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만 합니다." -- [TheInnerGameOfWork]중에서


2006-09-21

{{|"Our concern is that people might think what matters most is the total number of daily steps accumulated, an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pace or effort invested in taking those steps," Dr. Harber said. "The 10,000-step or pedometer-based walking programs are great for people--they are motivating, and provide an excellent starting point for beginning an activity program, but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ne must add some intensity or "huff and puff" to their exercise. Across your day, while you are achieving those 10,000 steps, take 200 to 400 of them at a brisker pace."|}}


2006-09-19

{{|They found that p120 "prefers" to bind to E-cadherin, rather than to mesenchymal cadherins. So in normal epithelial cells p120 always associates with the more abundant E-cadherins. But when E-cadherin production is lost during the progression of cancer, p120 catenins begin binding to mesenchymal cadherins. And when that happens, the researchers found that p120 unexpectedly switches on a cascade of events that promote cell movement.|}}


2006-09-18

어제 KLDP 10주년기념 conference에 다녀왔다. 여러가지 오픈소스에 관련된 이야기들과 CWEB에 대하여 새로운 내용을 듣게 되었다.


2006-09-16

{{|In cancer cells, the splicing machinery goes awry -- as do myriad functions within the cells. When the splicing process proceeds one way, the cells become mesenchymal. Spliced another way, the cells turn epithelial.

According to Garcia-Blanco, the cellular switch that is believed to guide the regulation of splicing is a protein called Fox. Both mesenchymal and epithelial cells produce Fox, but the protein is active only in epithelial cells, Garcia-Blanco said. |}}

전에 북세미나에서 유엔미래보고서란 내용의 세미나를 들은 적이 있었다. 그때의 내용은 매우 암울했는데, 그 이유는 바로 위의 내용처럼 우리나라가 맞게 될 인구감소에 따른 전반적인 침체에 대한 내용이었다. 세미나를 듣고 나서 나는 내가 알고있는 주변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언급하며 출산율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미래는 어둡다는 이야기를 했었는데, 다수의 여성분들의 반응은 애를 낳는 것은 힘들뿐아니라 키우기도 어렵고, 그 보다 먼저 결혼을 하기가 힘들다는 것이었다. 나 역시 노총각이지만...

지금 정부에서 내놓는 출산장려책으로는 어느 누구도 아이를 낳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남자인 내가 봐도 확실하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사회 구조적으로 지금 이시대의 결혼적령기에 있는 남녀들은 여러 상황때문에(취직이 어렵다는 것은 모두 알것이고, 결혼에 필요한 자금 및 주택마련등) 해가 갈수록 늦춰지고 있으며, 이로인해 늦게 결혼하게된 부부들은 맞벌이로서도 생활비를 감당하기 힘든 마당에 직장에서 눈치보면서 출산을 하려고 노력하기보다는 오히려 갑자기 아이가 생겼을 경우, 혹시 퇴직을 강요당하거나 승진에 불이익을 받을까(안그래도 여성들의 승진은 한계가 있다.) 걱정을 하게 된다. 이런 현실에서 감히 어느 여성들에게 "우리나라의 미래가 걱정되니, 애국하는 마음에서 아이를 많이 낳으십시요. 그래야, 우리나라가 살아날 수 있습니다."하고 이야기 할수 있을까?

내가 생각하는 최선책이란, 이런 문제를 정부의 탓으로 돌리고 정부에게 하루 빨리 출산장려책을 마련하라는 방법으로는 개선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우선, 위의 내용처럼 분명한 사실을 널리 알리고 정부 뿐만아니라 우리 모두가 앞에서 적은 내용과 같은 실질적인 문제점들을 조사하고, 당장의 해결책을 급하게 발표(아이 3명을 낳은 집에는 세제감면이나 주택청약에서 당첨우선순위를 준다는 것등)할 것이 아니라, 시간이 걸리고 그 변화가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지금 우리사회의 총체적 문제인 교육, 주택, 빈부의 격차, 여성지위의 향상, 결혼에 대한 사회의식등의 전반적인 사회구조와 국민의 인식변화가 중요할 것이다. 문제가 많을 수록, 마음이 급해지고 처음에는 의욕적으로 일을 추진하다가 결국에는 얼마 지나지 않아 변화가 없는 것을 보고 그냥 포기하여 방치해두는 사례를 많이 봐왔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발씩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고, 그 방법이 더디더라도 핵심사항과 관련된 것일수록 효과는 크다. 우리 모두가 생활하고 있는 대한민국이 영원하기를 바란다면 그냥 앉아서 정부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 도움이 될 만한 의견을 제시하고, 그것이 힘들다면 국회의원을 뽑을 때 이런 문제에 대하여 고민하고 의견제시를 했던 의원이 누구였나 살피며, 남성들도 여성들이 출산을 하기에 좋은 직장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고민해야 한다.(내 아내나 어머니 혹은 가족의 일원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풀릴지도 모른다.)


2006-09-15

{{|The sieving process is based on a theoretical model known as the Ogston sieving mechanism. In the model, proteins move through deep and shallow regions that act together to form energy barriers. These barriers separate proteins by size. The smaller proteins go through more quickly, followed by increasingly larger proteins, with the largest passing through last.|}}


2006-09-14

{{|"Our sensor is based on the novel properties of peptides and carbon nanotubes," Tao explained. "Peptides can be used to recognize and detect various chemical species with high sensitivity and selectivity while carbon nanotubes are well known for their electronic properties."|}}


2006-09-13

{{|The researchers analyzed government records on deaths from flu and pneumonia in cities from nine regions of the US between 1996 and 2005. For each year, they determined the time it took for the epidemic to spread across the country and the date of the national peak in flu deaths. They used government estimates of passenger air travel to explore any connection with the timing of the annual flu epidemics.|}}


2006-09-12


2006-09-10

유용한 정보의 링크

내가 본 장면은 처음으로 백일휴가를 나와서, 다른 사람들처럼 가장 먹고싶었던 햄버거를 나오자마자 두개나 사먹고 기차를 타고 서울에 있는 부인집(친정집)으로 가서, 장모, 장인어른께 인사를 하고 공부를 위해 미국에 가 있는 아내가 보내온 비디오를 보고 눈물짓는 장면들이었다. 그때 당시의 생각은 군대에서 별로 좋은 기억이 없고, 우리나라의 사회상이 모두 군대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나로서는 "고생만 하다가, 오히려 우리나라의 안좋은 면을 보게되는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그런데, 여성동아의 기사를 통해서 우리나라에서는 불가능이라고 생각되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미국의 대학에 합격시켰다는 사실을 보고, 그의 아버지에게 직접 찾아가서 절이라도 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한 아버지의 좋은 생각이 아들의 행동에 변화를 주었고, 그 사건으로 인해서 14명이나 되는 학생들이 자신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게 된 계기를 만들어 주게 되었으며, 예상컨데 그 열네명의 제자들은 사회에 나와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몸소 자신이 받은 선생님의 사랑을 남들에게 전파할 것이며 여러가지 다양한 불가능해 보이는 일들에 서슴치 않고 도전할 것이라 생각한다. 나와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의 블로그를 구독하고 있는데, 그런 사람들을 통해서 서로의 생각들을 공유하게 되며 또 다른 좋은 사람들을 알게 되는 것 같다. 이런 사실들로 인해서 오늘 하루는 무척 감동적인 하루다.


2006-09-09


2006-09-07

어제 저녁에 술 먹으면서 쑈킹한 이야기(I was shocked!!!)를 듣고, 그동안 간만에 먹지 않았던 술을 다 먹고 뻗었다. 그래서, 오늘은 자체적으로 휴가 입니다. :\


2006-09-06


2006-09-05


2006-09-04

1. 바탕화면이 실행되는 경우 : 시작 -> 실행 -> msconfig -> 시스템구성유틸리티 -> 시스템복원기능버튼

2. 전혀 실행이 안되는 경우 : Ctrl+Alt+del 동시클릭 -> 작업관리자 -> 파일 -> 새작업실행 -> %systemroot%\system32\restore\rstrui.exe를 실행


(<-)

[../2006-08]

[../2006-10]

(->)


terra19/2006-09 (last edited 2011-08-03 11:00:57 by localhost)